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A%B2%BD%EC%98%81%EA%B3%BC%ED%95%99%EA%B3%BC
최신순
조회순
‘기업가정신’ 해외 석학들 KAIST에 모였다
- ‘제1회 혁신과 기업가정신 국제회의’ 개최 - 미국경제연구소(NBER),KAIST, 칭화대, 동경대 기업가정신 석학 20여명 참석 미국과 아시아에서 활동 중인 ‘기업가정신’석학 20여명이 ‘아시아의 혁신과 기업가 정신’을 논의하기 위해 KAIST에 모였다. 아시아 혁신 및 기업가정신협회와 미국경제연구소는 19~20일 이틀 동안 대전 본원 KI빌딩에서 ‘제1회 혁신과 기업가정신 국제회의(AIEA-NBER Conference On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를 공동으로 개최했다. 미국경제의 핵심 두뇌집단인 미국경제연구소(NBER,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를 포함해 중국 칭화대, 일본 동경대 , KAIST 경영과학과 및 기술경영대학원 등 혁신과 기업가 정신을 연구하는 세계적인 연구소와 대학들이 이번 컨퍼런스에 참여한다. 공동 주최기관인 미국경제연구소는 미국 경제정책에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치는 두뇌집단 중 하나로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16명을 포함해 미국대통령경제자문위원회 위원장 등 다수의 석학들이 소속된 기관인데, 아시아에서는 KAIST와 처음으로 공동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컨퍼런스는 ‘혁신과 기업가정신’의 글로벌 연구트렌드 발표와 함께 아시아와 북미의 기업가 정신이 어떻게 다른지에 관한 패널토론으로 꾸며졌다. 첫 강연자로 나선 티모시 브래즈나한(Timothy Bresnahan)스탠퍼드대 교수는 ‘모바일 생태계에서 대기업의 혁신’에 관한 발표자로 나서 애플과 삼성의 혁신 경쟁 등 모바일 시장의 혁신전략에 관한 연구결과를 발표한다. 이어 조쉬 러너(Josh Lerner) 하버드대 교수가 ‘기업가의 금융과 M&A’를 , 스콧 스턴(Scott Stern) MIT 경영대학원 교수가 ‘소프트웨어 저작권 침해 발생빈도’를 주제로 강연한다. 이 밖에 일본 기업가정신의 대가인 카즈유키 모토하시(Kazuyuki Motohashi) 동경대 교수가 ‘개방형 혁신과 기업전략’을, 쉬동 가오(Xu dong Gao) 칭화대 교수가 ‘중국 산업의 기술혁신 패턴’을 주제로 통찰력 있는 연구결과를 발표한다. 컨퍼런스를 주관한 김원준 경영과학과 겸 기술경영대학원 교수는 “이번 컨퍼런스는 혁신과 기업가정신 분야의 국제적 협력 플랫폼을 구성하는 첫 출발점”이라며 “혁신과 기업가 정신을 통해 저성장 경제를 어떻게 활성화시킬 것인지를 국제적으로 논의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자세한 컨퍼런스 내용은 홈페이지(http://aiea.kaist.ac.kr)에서 확인 할 수 있다. 끝.
2013.08.19
조회수 12649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제2회 시민 인문강좌’ 개최
- 일반시민 대상 다음달 4일부터 7일까지 선착순 모집 - - ‘사회학・과학’ 시민강좌 와 ‘미술관 답사’등 2개 프로그램 운영 - - 전 과정 무료이나 내용은 명불허전 - KAIST가 지난 봄에 이어 가을에도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고급 인문 및 교양강좌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KAIST 인문사회과학연구소(소장 김동원)는 다음달 16일부터 총 8회에 걸쳐 대전 시민 등 인문학 분야에 관심이 많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제2회 시민 인문강좌’를 개최한다 이번강좌는 사랑 • 심리학 • 먹거리 문화 • 여론조사 • 여성 • 기술 등 사회적으로 널리 인용되지만 이론적 정립이 어려운 사회학적 이론을 경험해 보는 ‘사회학 • 과학’ 시민강좌 프로그램과 대전 시립미술관과 이응노 미술관의 특별전시회를 관람하는 ‘미술관 답사’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시민 인문강좌’는 10월 16일부터 매주 화요일 오후 3시부터 2시간 동안 KAIST 인문사회과학동 국제회의실에서 개최되는데 선착순 100명을 모집해서 운영된다. 이원재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의 <사랑의 역설과 소셜 네트워크>를 시작으로 ▲김정훈 KAIST 인문사회과학과 교수가 <심리학적 지식의 불편한 진실>을, ▲이석봉 대덕넷 대표가 <디지털 시대의 아날로그 해법 ‘종이 신문’>을, ▲김동주 KAIST 인문사회과학과 교수가 <우리 시대의 먹거리 문화에 대한 성찰 : 고대 인류는 무엇을 먹고 살았을까?>를 주제로 각각 강의한다. 이어 ▲신피터경섭 KAIST 인문사회과학과 교수가 <삼성 대 애플, 최후의 승자는?>을, ▲박현석 KAIST 인문사회과학과 교수가 <여론 조사와 대통령 선거: 과연 국민의 뜻은 무엇인가?>를, ▲ 윤정로 KAIST 인문사회과학과 교수가 <여성의 눈으로 본 과학 기술>을, ▲김원준 KAIST 경영과학과 교수가 <요즘 왜 자꾸 통섭, 융합이 화두인가?>를 주제로 각각 강의를 진행한다. 이밖에 선착순으로 모집한 시민 20명을 대상으로 진행 되는 ‘미술관 탐방’ 프로그램은 김소희 KAIST 인문사회과학과 교수가 이끈다. 김 교수는 대전시립미술관이 주최하는 <프로젝트 대전 2012 : 에네르기>전시회와 이응노 미술관이 주최하는 <텍스트가 된 인간 : 이응노, 줄리안 오피 & 소피 칼>전시회를 감상하면서 현대미술의 흐름을 이야기할 예정이다. 이번 강좌를 총괄하는 신동원 KAIST 인문사회과학과 교수는 “이번 인문학 강좌에 많은 시민이 참여해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영혼을 살찌우는 소중한 기회가 됐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접수신청은 10월 4일에서 7일까지 인문사회과학과 홈페이지(http://hss.kaist.ac.kr)에서 가능하며 수강료는 전액 무료다. 강좌 상세내용은 홈페이지(http://hss.kaist.ac.kr/)에서 확인 가능하다. 문의 : 카이스트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임경희 T. 350-8007, E-mail. baobab@kaist.ac.kr
2012.09.27
조회수 17682
SNS로 교실이 바뀐다! 학교 어플의 종결자 ‘아이엠스쿨’ 출시
정인모 학생 - KAIST 학부생 정인모 군, 전국 학교를 대상으로 무료 앱 ‘아이엠스쿨’ 배포 -- 저학년 학부모를 위한 필수 앱 - 이제 갓 초등학교에 입학한 딸을 두고 있는 직장맘 윤 모(45세) 씨. 얼마 전 딸이 다니고 있는 학교 홈페이지에서 알림장을 뒤늦게 확인해 밤늦게 준비물을 챙겨주고 나서야 비로소 안도의 한숨을 쉬었다. 이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학교소식도 스마트폰을 통해 받아보는 앱(App)을 대학생이 개발해 화제다. 학부모는 자녀가 다니는 학교의 각종 정보를 스마트폰을 통해 언제든지 확인이 가능하고 또 알람기능을 설정하면 학교의 긴급 알림을 받을 수도 있으며 학교측 입장에선 우편으로 보내던 가정통신문을 대체할 수 있어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부모나 학교로부터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우리 학교 산업디자인학과(21세, 경영과학과 복수전공) 정인모 학생이 세운 벤처회사 ‘아이엠컴퍼니‘가 재학생 100명 이상인 1만여개의 전국 초·중·고교를 대상으로 무료 앱 ‘아이엠스쿨’ 보급에 나섰다. 국내에서 휴대폰 사용자 중 스마트폰 이용자가 절반이상을 넘어서면서 대학교, 학원, 병원, 기업, 공공기관에서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홈페이지뿐만 아니라 앱 또는 모바일 홈페이지를 만들어 언제 어디서나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화 시대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대부분의 초·중·고교에서는 홈페이지만 갖추고 있을 뿐 약 1,000만원 수준의 제작비가 소요되는 앱 이나 모바일 홈페이지는 거의 갖추고 있지 않아 가정통신문 등의 소식을 받아보려면 컴퓨터를 이용해 학교 홈페이지에 접속해야만 하는 불편함을 겪어왔다. KAIST에 재학 중인 정인모 군은 이 같은 학부모들의 불편을 해소키 위해 ‘전국 학교를 대상으로 한 무료 앱‘을 개발한 후 작년 7월 KAIST 경영과학과가 ‘창업패키지’ 수업의 일환으로 개최한 창업경진대회에서 이를 발표해 최우수상을 차지했다. 이 대회 심사위원들은 실제 현업에서 활동하고 있는 벤처투자자들로서 이들로부터 호평을 받아 수상했다는 사실이 정 군에게는 ‘전국 학교를 대상으로 한 무료 앱 보급’ 사업의 성공에 대한 자신감과 벤처회사를 창업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했다. 정 군은 창업경진대회에서 수상한 아이디어로 지난해 6월 대전광역시가 주관한 ‘대학창업 300 프로젝트’에 선정돼 1,300만원을 지원받아 올 2월까지 9개월 동안 관련 앱 기술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했으며 올 3월에는 ‘아이엠컴퍼니‘라는 벤처회사도 설립했다. ‘아이엠컴퍼니’는 출범하자마자 올 3월 초부터 곧바로 전국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아이엠초등학교’라는 앱을 출시한 후 이어 중순부터는 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확대, 보급 중에 있다. ‘아이엠스쿨’은 출시 된지 한 달이 채 되지 않은 4월 현재 100여개 학교에서 사용 중인데 이 앱을 사용하려면 아이엠스쿨 홈페이지(www.iamschool.net)를 방문해 사용신청서를 작성하면 1주일 이내에 사용이 가능하다. 학교에서는 단지 신청만 하면 되고, 학부모와 학생들은 간편하게 다운받아 학급별 알림장부터 각종 공지사항은 물론 가정통신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보를 스마트폰을 통해 빠르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이 앱의 가장 큰 특징이다. 특히, 무료 푸쉬 알림기능이 있어 선생님이 알림장에 글이나 가정통신문을 업로드하면 1분 이내에 스마트폰에 푸쉬 알람이 작동해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초대 기업호민관을 역임한 이민화 KAIST 경영과학과 교수는 “아이엠컴퍼니는 수익을 목표로 한 것이 아닌, 무료 앱 보급을 통해 교육환경을 개선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해 공공의 가치를 창출하고, 소비자들의 숨겨진 수요를 찾아내 참신한 방법으로 해결하는 창조적인 기업정신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대전 갈마초등학교 황정희 선생님은 “앱을 사용하면서부터 특히 저학년 학생들이 준비물을 가져오지 못한 사례가 현저히 줄었는데, 학부모들이 가정통신문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인 것 같다”며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앱인 만큼 앞으로 전국 학교에서 많이 사용하면 좋을 것 같다”고 강조했다. 한편 아이엠컴퍼니(대표 정인모)는 KAIST 학생들이 대전시 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의 지원을 받아 올 3월 설립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제작 및 배포하는 벤처회사인데, 최고의 어플리케이션 개발 기술력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지고 다양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중이다.(끝)붙임 : 보충자료, 기능소개, 회사소개 <보충자료: 아이엠스쿨 특징> ◎ 어플의 홈페이지와의 연동은 학교 측이 원하는 게시판을 선정해 최대 1주일 안에 연동되고, 홈페이지 상에서 공개되어 있는 게시판만을 연동해 보안상의 문제를 해결했다. 이와 같은 홈페이지 연동을 통해 선생님들의 추가작업을 없앴으며 기존의 홈페이지를 이용하면 자동으로 앱의 데이터가 업로드 된다. ◎ 학교 측에서 사용에 필요한 학부모, 학생용 가정통신문, 안내문 등 모든자료를 제공해 학교 측에서 사용에 따르는 부담을 최소화 했으며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더욱 사용하기 편한 앱으로 만들어갈 예정이다. ◎ 지역정보에는 아이엠컴퍼니에서 학부모나 학생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역 기반 정보들을 수집해 표시하며 이는 학교 앱의 접근성과 사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인터넷을 통한 무료 알림장 알람은 장기적으로 현재 학교에서 통신사를 이용한 유료문자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출을 줄일 것으로 기대되며 인터넷을 통해 즉시 통보되기 때문에 학부모들에게 긴급알림을 보낼 때도 유용하다. ◎ 아이폰(iOS)용 앱의 사용은 애플사의 심사기준에 따라, 적당한 양의 데이터가 누적돼 사용이 활성화 된 학교를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애플 본사의 상황에 따라 1달의 심사기간이 소요될 수 있다.
2012.04.02
조회수 16098
정양헌 칼럼 IT 트렌드와 스마트 워크의 방향
정양헌 경영과학과 교수가 중도일보 2012년 2월 14일(화)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IT 트렌드와 스마트 워크의 방향 신문: 중도일보 저자: 정양헌 경영과학과 교수 일시: 2012년 2월 14일(화) 기사보기: IT 트렌드와 스마트 워크의 방향
2012.02.14
조회수 7928
이덕희 칼럼 SNS, 집단지혜 발휘하고 있는가
이덕희 경영과학과 교수가 디지털타임스 2012년 2월 2일(목)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SNS, 집단지혜 발휘하고 있는가 신문: 디지털타임스 저자: 이덕희 경영과학과 교수 일시: 2012년 2월 2일(목) 기사보기: [디지털 산책] SNS, 집단지혜 발휘하고 있는가 * 해당 언론사 홈페이지 문제로 기사가 뜨는데 좀 오래걸립니다.
2012.02.02
조회수 9883
이민화 교수, 모든 도전이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이민화 경영과학과 교수의 인터뷰기사가 매일경제 2011년 12월 5일(월)자에 나왔다. 제목 : 모든 도전이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신문 : 매일경제 저자 : 이민화 경영과학과 교수 일시 : 2011년 12월 5일 기사보기: 모든 도전이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2011.12.12
조회수 7464
권영선 칼럼 구글의 선택… 기로에 선 삼성·LG
권영선 경영과학과교수가 세계일보 2011년 8월 19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구글의 선택… 기로에 선 삼성·LG 신문: 세계일보 저자: 권영선 경영과학과교수 일시: 2011년 8월 19일(금) 기사보기: 구글의 선택… 기로에 선 삼성·LG
2011.08.19
조회수 9258
이덕희 칼럼 상향식 IT생태계 만들어야
이덕희 경영과학과 교수가 디지털타임스 2011년 3월 29일(화)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상향식 IT생태계 만들어야 신문: 디지털타임스 저자: 이덕희 경영과학과 교수 일시: 2011년 3월 29일(화) 기사보기: [디지털 산책] 상향식 IT생태계 만들어야
2011.03.30
조회수 9591
이덕희 칼럼 세종시와 아이폰
이덕희 경영과학과 교수가 디지털타임스 2011년 1월 25일(화)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세종시와 아이폰 신문: 디지털타임스 저자: 이덕희 경영과학과 교수 일시: 2011년 1월 25일(화) 기사보기: 세종시와 아이폰
2011.01.25
조회수 9454
이홍규 칼럼 진실의 순간을 찾아내는 안목
이홍규 경영과학과 교수가 중앙일보 2010년 12월 15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진실의 순간을 찾아내는 안목 신문: 중앙일보 저자: 이홍규 경영과학과 교수 일시: 2010년 12월 15일(수) 기사보기: 진실의 순간을 찾아내는 안목
2010.12.15
조회수 8745
이덕희 칼럼 생태계 시스템의 출발점
이덕희 경영과학과 교수가 디지털타임스 2010년 12월 2일(목)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생태계 시스템의 출발점 신문: 디지털타임스 저자: 이덕희 경영과학과 교수 일시: 2010년 12월 2일(목) 기사보기: 생태계 시스템의 출발점
2010.12.02
조회수 9744
이홍규칼럼 인문학이란 마법을 생각해 볼 때
이홍규 경영과학과 교수가 중앙일보 2010년 11월 3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인문학이란 마법을 생각해 볼 때 신문: 중앙일보 저자: 이홍규 경영과학과 교수 일시: 2010년 11월 3일(수) 기사보기: 인문학이란 마법을 생각해 볼 때
2010.11.03
조회수 10498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2
3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