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고려대, 심혈관 진단 정밀도 높이는 영상기술 개발 및 임상 성공​
조회수 : 709 등록일 : 2025-05-08 작성자 : 홍보실

OCT-FLIm 영상의 실제 임상 적용 모습과 첫 임상 시험 성공 후의 사진 (왼쪽부터) 고려대 의대 김진원 교수, KAIST 기계공학과 유홍기 교수, KAIST 기계공학과 남형수 연구교수, KAIST 기계공학과 한정무 박사후 연구원, 고려대 의대 강동오, 김선원 교수

< OCT-FLIm 영상의 실제 임상 적용 모습과 첫 임상 시험 성공 후의 사진 (왼쪽부터) 고려대 의대 김진원 교수, KAIST 기계공학과 유홍기 교수, KAIST 기계공학과 남형수 연구교수, KAIST 기계공학과 한정무 박사후 연구원, 고려대 의대 강동오, 김선원 교수 >

우리 대학 기계공학과 유홍기 교수팀이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심혈관센터 김진원 교수팀과 협력해, 관상동맥 질환의 진단 정밀도를 혁신적으로 높일 수 있는 영상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세계 최초로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 성공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광간섭단층촬영(OCT)과 형광수명영상(FLIm)을 결합한 차세대 다중 모달 영상 기술을 실제 환자에게 적용해, 심장 혈관 속 동맥경화반*의 구조뿐만 아니라 그 내부의 생화학적 조성까지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동맥경화반: 콜레스테롤과 염증 세포 등이 동맥 벽에 쌓여 혈관이 좁아지게 만드는 병변. 

기존 영상기술로는 경화반 내부의 복잡한 병변을 정확히 구분하거나 정량화하기 어려웠지만, OCT-FLIm 기술을 통해 염증, 치유반(손상 회복 흔적), 칼슘 침착 등 다양한 병리 정보를 정밀하게 구분할 수 있다. 특히, FLIm의 형광 수명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이러한 생화학적 특성이 환자의 임상 상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그림 1. 혈관내 동맥경화 병변의 염증 활성도 평가. 3차원 OCT 렌더링은 혈관의 구조를 보여주고 540 nm 대역의 형광수명 값은 염증 활성도를 영상화 합니다. 이를 통해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의 동맥경화반 병변에서 염증 활성도가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습니다.

< 그림 1. 혈관내 동맥경화 병변의 염증 활성도 평가. 3차원 OCT 렌더링은 혈관의 구조를 보여주고 540 nm 대역의 형광수명 값은 염증 활성도를 영상화 합니다. 이를 통해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의 동맥경화반 병변에서 염증 활성도가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습니다. >

연구진은 급성 심근경색과 같은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에서는 염증 지표가 높게 나타났으며, 급속히 진행되는 병변에서는 반복된 경화반 파열과 치유로 인해 치유반이 높은 빈도로 뚜렷하게 분포하는 특징을 발견했다. 이는 심혈관 질환의 진행 정도나 개별 경화반의 상태를 보다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이번 임상에서는 OCT와 FLIm을 완전히 통합한 융합 영상 카테터(Catheter)가 사용되었다. 연구진은 국내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실제 혈관 재개통 시술 중 해당 카테터를 삽입하여 병변을 분석했고, 모든 환자에서 시술이 안전하게 완료되었다. 이는 세계 최초로 융합 영상 카테터를 임상에 성공적으로 적용한 사례다.

*영상카테터: 관상동맥 내부에 삽입되어, 끝단에 부착된 렌즈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는 가느다란 관 모양의 의료기기

그림 2. 치유반이 다량 분포하는 급속 진행성 병변에 대한 임상 OCT-FLIm 영상 390 nm 대역의 형광수명 값은 치유반의 분포를 영상화 합니다. 이를 통해 급속 진행성 병변에서 치유반의 분포가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습니다.

< 그림 2. 치유반이 다량 분포하는 급속 진행성 병변에 대한 임상 OCT-FLIm 영상 390 nm 대역의 형광수명 값은 치유반의 분포를 영상화 합니다. 이를 통해 급속 진행성 병변에서 치유반의 분포가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습니다. >

동맥경화반의 병태생리는 매우 복잡하며, 단순한 해부학적 정보만으로는 향후 심혈관 질환 발생 여부나 치료 예후를 예측하기 어렵다는 사실이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다. 이번 연구는 실제 환자의 혈관에서 병리학적 위험 요소를 실시간으로 시각화하고 정량화한 세계 최초로 임상 사례로, 심혈관 질환의 정밀 진단과 개인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홍기 교수가 공동 교신저자, 남형수 연구교수가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는 심장학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인 미국의학회 심장학 저널, 자마 카디오로지(JAMA Cardiology,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에 2025년 5월 7일 자로 게재되었다. 

※ 논문명: Intracoronary Structural-Molecular Imaging for Multitargeted Characterization of High-Risk Plaque

DOI: 10.1001/jamacardio.2025.0928

이번 연구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및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