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LEADERSHIP

연설문

KAIST 2018 안보/국방 융합4.0포럼 환영사

작성자 PR Office 작성일 2018.03.23 조회수8888

여러분 대단히 반갑습니다. KAIST 총장 신성철 입니다.

KAIST와 ADD가 함께 주관하는 2018 안보/국방 융합4.0포럼에 참석해 주신 내외 귀빈 여러분께 충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특히 의정활동으로 바쁘신 중에도 자리를 빛내주신 이상민 의원님, 신용현 의원님께 감사드리고, 권오성 前 육군참모총장님을 비롯해 군 장성 분들과 포럼을 함께 주관해주신 ADD 남세규 소장님께 감사드립니다.

또한, 포럼 준비를 위해 많은 분들이 수고해 주셨습니다. 우리 대학의 대외부총장이자 안보융합연구원장인 김수현 교수님 이하 관계자 여러분, 주제 발표자, 패널 토론자, 그리고 LIG넥스원, 풍산, 한화시스템 등 후원사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KAIST는 3월 19일(월)부터 23일(금)까지 이번 한 주를 비전 위크(Vision Week)로 정하고 ‘비전2031 선포식’을 비롯해 다채로운 행사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개교 60주년을 맞는 2031년을 바라보면서 1년의 기간 동안 학교 구성원들이 머리를 맞대고 ‘비전2031’을 수립했고, 이 비전을 전 국민을 대상으로 선포함으로써 희망을 전하고, 구성원 모두가 KAIST의 새로운 시대적인 역할과 사명에 대해 결의를 다지는 행사를 개최했습니다.

KAIST의 새로운 비전은 ‘글로벌 가치창출 선도대학’입니다. 지금까지 국내를 선도하는 대학이었다면 앞으로는 세계를 선도하는 대학으로 도약하겠다는 꿈과 의지가 담겨 있습니다. 새로운 비전 아래, KAIST는 세계적인 수준의 학문적 가치, 기술적 가치, 경제적 가치를 선도적으로 창출하여 국가발전에 기여하며 이웃을 배려하는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대학이 되고자 합니다.

과학기술 기반의 국가 안보/국방 발전에 기여하는 것은 KAIST에 부여된 매우 중요한 사명 중 하나 입니다. 이를 위해, 안보융합연구원을 설립해서 안보/국방 관련 교육, 연구, 정책개발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교육 측면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해 군 리더급 인력의 업스킬링(upskilling)에 힘쓰고 있습니다. 최근 김용우 육군참모총장님과 만나 육군-KAIST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육군의 국방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와 역량 강화를 위해 학위과정과 연수과정 등 다양한 교육과정을 개설키로 합의했습니다.

지난 3월 5일부터 9일까지 군 장성급, 영관급 인력 150여 명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과 국방혁신 등에 관해 특별연수과정을 운영했습니다. 송영무 국방장관님께서 해군․공군으로 연수과정을 확대해 나갔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주셔서 관련 교육프로그램을 확대․운영할 계획입니다.

KAIST는 설립 초창기부터 군의 전문 인력 양성에 많은 관심을 갖고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들면서 4차 산업혁명과 관계되는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원 과정을 설립해야 할 필요성을 느낍니다.

연구 측면에서는 사이버전을 대비한 R&D에 집중하고자 합니다. 첨단 국방 과학기술 개발을 통해 향후 예상되는 AI 기반의 로봇, 드론 전쟁에 대비할 것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첨단 과학기술 기반 인력 양성 및 연구를 통해 국가 안보와 국방력 강화에 공헌하는 것은 대학의 중요한 존재가치 중 하나 입니다. 세계 제1차, 2차 대전 당시 MIT가 대공포의 정확도를 크게 높인 전자식 디지털 계산기를 개발하는 등 전세에 크게 영향을 주는 연구결과를 창출함으로써 그 존재가치를 드러낸 것처럼 KAIST도 국가의 안보와 국방력 강화에 기여해 우리 대학에 부여된 국가적 소명을 다하고자 합니다.

저는 KAIST 연구자들에게 연구의 3가지 원칙을 강조합니다. KAIST에서 수행되는 연구는 세계 최고(Best one)이거나, 최초(First one)이거나, 유일(Only)해야 합니다. 국방 분야 연구도 마찬가지 입니다. 더 이상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 전략은 통하지 않습니다. 그런 면에서 앞으로 국방연구에 관계되는 분들은 Best one이거나, First one이거나, Only one이 되는 연구를 해주시길 바랍니다.

저는 대학의 R&DB를 강조하며 기술사업화 혁신을 추구하고, 국방기술의 스핀오프(spin-off)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국방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기술들이 많습니다. 자동차, 가전제품, 스포츠용품, 생활기기 등 국방기술의 스핀오프(spin-off) 사례는 우리 주위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첨단 국방기술들은 세계적으로 엄청난 시장을 창출할 것입니다. KAIST 창업원을 통해 관련분야 연구결과들이 창업과 연결되어 새로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동시에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합니다.

정책적인 측면에서는 미래 지향적이고 객관적인 국방정책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을 지내면서 관심을 가지고 국방 관련 정책들을 살펴본 적이 있습니다. 단기적인 정책들은 많지만 안타깝게도 장기적인 정책이 부재했습니다. 또한 여러 이해관계가 상충하고 있어 객관적인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어려워보였습니다. 미국의 대표적인 국방정책연구소인 랜드연구소의 사례처럼 KAIST의 안보융합연구원에서는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한국 고유의 국방정책을 연구하고자 합니다.

오늘 2018 안보/국방 융합4.0포럼이 많은 분들의 지혜를 모아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의미 있는 장이 되기를 바랍니다.

포럼에 참석해 주신 여러분께 다시 한번 감사드리고, 여러분의 행복과 건강을 기원하면서 환영사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8. 3. 23.
KAIST 총장 신 성 철

콘텐츠담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