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집물질계산물리’ 연구실 현판식>

<‘분자촉매 디자인 및 반응 공학’ 연구실 현판식
>
8월 16일(목), 신성철 총장은 제2차 '초세대 협업연구실' 현판식에 참석했다.
신성철 총장은 축사에서 "국가가 과학의 찬란한 꽂을 피우기 위해서는 3세대에 걸친 역사가 필요하다"며 "3세대를 각각 '학문의 뿌리를 내리는 1세대', '나무가 자라는 2세대', 그리고 '꽂을 피우며 열매를 맺는 3세대'로 나눌 수 있는데, 학문의 한 세대를 30여 년으로 볼 때 최소 60년 이상의 세월이 흘러야 피어날 수 있다는 이야기다"라고 말했다.
신 총장은 "국내에서는 학문의 2세대가 된 원로 과학자들이 은퇴하면서 연구실 문이 닫히고 있는데, 이는 30여 년간 쌓아온 연구 업적과 실험실 노하우가 하루아침에 사장(死藏)되고 마는 것으로 볼 수 있다"면서 "이들 중에는 세계적 수준의 업적과 명성을 이룩한 학자들이 많지만, 제대로 계승되지 않아 연구의 높은 금자탑을 쌓아가지 못해 훌륭한 과학적 자산이 유실되어 국가적으로 큰 손실이자 우리나라 과학 선진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KAIST는 우리나라 학문의 1세대로 꼽히는 시기에 최초의 연구중심대학으로 출범해 척박한 대학연구 환경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며 우리나라 대학 연구 분위기를 선도했다"며 "학문의 3세대를 맞는 지금 KAIST가 우리나라 최초로 도입해 운영하는 ‘초세대 협업연구실’을 정착시키고 확산해 연구업적이 대를 이어 계승 발전하고 대한민국 과학의 찬란한 꽃이 만개할 수 있도록 성공 모델을 만들어갈 것"이라고 역설했다.
이어, "우리가 국내 대학 처음으로 시작하는 ‘초세대 협업연구실’의 성공은 참여 교수들의 협업적 연구자세가 전제되어야 한다"면서 "시니어 교수가 주니어 교수를 대등한 연구 동료로 대해야 하고, 주니어 교수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내며 시니어 교수 업적을 계승 발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신성철 총장은 축사를 마무리하면서 “지난 3월 KAIST 비전 2031을 통해 발표한 내용과 같이 오는 2031년까지 ‘초세대 협업연구실’을 60개 이상 점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초세대 협업연구실’ 선정에는 1985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클라우스 폰 클리칭 박사(독일 막스 플랑크 고체물리학 연구소)와 2002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쿠르트 뷔트리히 박사(스위스 취리히공대 교수) 등 총 6인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했으며 지난달 19일 장기주 특훈교수(물리학과)와 유룡 특훈교수(화학과)를 제2차 초세대 협업연구실 지원 대상자로 선정했다.
이번에 2개 연구실이 새로 선정됨에 따라 우리 대학이 운영 중인 ‘초세대 협업연구실’은 지난 3월 1차로 선정된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가 책임을 맡은 ‘시스템 대사공학 및 시스템 헬스케어’ 연구실과 기계공학과 성형진 교수가 책임을 맡은 ‘헬스케어 음향미세유체’ 연구실 등 모두 4개로 늘게 됐다.
‘초세대 협업연구실’은 학문적 업적이 뛰어난 교수가 퇴직과 동시에 연구실 문을 닫아 그동안 축적한 연구업적과 노하우 등 학문적 유산이 사장(死藏)되는 것을 막고 후배 교수가 선배 교수의 연구를 계승해 발전시키기 위한 제도이다. 특히 이 제도의 특징은 선배 교수가 은퇴 이후에도 연구원 자격으로 후배 교수들과 계속 연구에 참가할 수 있다. 이 제도는 우리 대학이 국내 대학 중 최초로 연구혁신의 일환으로 도입, 운영 중인 제도 가운데 하나다.
우리 대학은 1차 ‘초세대 협업연구실’을 선정한 이후 추가 선정을 위해 지난 5월부터 △연구의 독창성․혁신성․탁월성을 기반으로 미래의 세계적인 연구를 선도하기 위한 분야 △KAIST가 세계 최초, 세계 유일,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가 가능한 분야 △두 세대 이상의 연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지속적·장기적 지원이 요구되는 분야의 교내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공모를 시행해왔다.
2차 모집에서 ‘초세대 협업연구실’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물리학과 장기주 특훈교수는 나노과학기술대학원 김용현 교수, 물리학과 한명준 교수와 함께 ‘응집물질계산물리’ 연구실을 운영한다. 새로운 양자 현상을 예측 하고 기능성 물질 개발을 목표로 제1원리 전자구조 계산을 통해 물질의 물리적 특성을 규명하고 신물질을 디자인하는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제1원리 전자구조 계산'은 원자의 위치와 종류만을 기초정보로 이용하는 양자역학계산으로 원자, 분자, 고체, 표면, 경계면, 나노 구조 등 여러 가지 응집물질의 특성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이와 함께 화학과 유룡 특훈교수는 생명화학공학과 최민기 교수와 공동으로 ‘분자촉매 디자인 및 반응 공학’ 연구실을 운영할 계획이다. 분자 레벨 및 나노 영역에 첨단 화학기법을 접목해 촉매를 설계하는 연구 분야다. 에너지 및 환경 문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각종 화학반응의 반응 효율을 극대화하는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이번에 선정된 연구실에는 향후 5년간 운영비와 협업 연구 공간 등 각종 편의시설이 제공된다. 연구실 운영 5년 후 평가 결과에 따라 계속 지원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