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LEADERSHIP etc!!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민간위원장 간담회

작성자총장실 등록일2020.05.15 조회수708







5월 15일(금), 신성철 총장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민간위원장 간담회’에 참석했다.

지자체별 4차 산업혁명 정책의 성과를 공유하고 4차 산업혁명 활성화를 위한 중앙과 지방의 협력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이 날 간담회에서는 제3기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운영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 국가전략, 4차 산업혁명 지역 우수 사례에 대한 발표가 각각 진행되었다.

이어진 전체 토론회에서 신성철 총장은 공동위원장을 맡고 있는 ‘대전시 4차 산업혁명 추진위원회’의 활동성과를 소개하고 AI 인재 양성 등 4차 산업혁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혁신방안을 제안했다.

첫째, 신 총장은 대전시의 4차 산업혁명 정책 추진 경과 및 미래 비전과 전략을 설명했다.

신성철 총장은 “세계경제포럼(WEF)의 클라우스 슈밥 회장이 4차 산업혁명의 화두를 제시한 다음 해인 2017년 5월 대전시는 4차 산업혁명 특별시 육성계획을 발표하고 곧바로 추진위원회를 발족하여 가동해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26개 정부출연연구소 등 과학기술 연구 기관, KAIST를 위시한 세계적 수준의 이공계 교육 기관, 26,000여 명의 석·박사급 상주 인력, 1,600여 개 첨단 기업 등 과학기술 인프라를 보유한 대전시는 4차 산업혁명 추진위원회가 제시한 전략을 기반으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겠다는 국가적 사명을 수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인 사례로는 ‘4차 산업혁명 구현의 선도도시’라는 비전 실현을 위해 대전시가 수립한 신성장 산업 고도화, 민관협력 거버넌스 구축, 시민중심 스마트 시티 조성, 디지털 인프라 구축 등 4대 전략 및 8대 중점 과제에 관해 설명했다.

둘째, 4차 산업혁명 전략 추진과 더불어 대전시를 글로벌 바이오 특화도시로 도약시키기 위한 ‘코로나 대응 과학기술 뉴딜사업’을 소개했다.

신 총장은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며 미래 국가 혁신성장을 견인할 신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항바이러스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KAIST는 대전시를 포함한 산·학·연·관 주요 기관과 병원이 참여하는 ‘코로나 대응 과학기술 뉴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코로나19 위기 대응과 항바이러스 산업 육성을 위한 과학기술 뉴딜사업의 특징 중 하나는 과학기술계와 의료계의 새로운 협업 모델을 창출하는 것”이라고 강조하고 사업추진에 관한 정부 차원의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셋째,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AI 인재 양성과 교육혁신을 위한 개방과 협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신 총장은 “우리나라가 보유한 국제적 수준의 AI 전문가 규모는 170여 명에 불과해 미국의 1.4%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지적하고 “고급 AI 인재 보유 측면에서 선진국에 비해 절대적 열세 상황을 만회하고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한 AI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전국적 차원에서 개방과 공유에 기반을 둔 협업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KAIST는 AI대학원을 중심으로 매년 100명의 석사급 인력과 50명의 박사급 AI 인력양성을 계획하고 있다”고 말하며 고급 AI 인재 양성을 위한 우리 대학의 비전과 전략을 소개했다.

넷째, 우리나라가 4차 산업혁명을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기회 요인을 분석하고 향후 적용해야 할 한국형 4차 산업혁명 성공방정식을 제안했다.

신 총장은 “4차 산업혁명의 추진에서는 세계 5대 제조 강국이며 ICT 세계 최강국인 글로벌 위상,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국민들의 지대한 관심, 대통령 직속의 4차 산업혁명 위원회를 운영하는 유일한 국가라는 점 등 우리가 가진 기회 요소를 효율적이며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4차 산업혁명이라는 도전을 국가발전의 기회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혁신(Innovation)과 협업(Collaboration)과 속도(Speed)의 세 가지 변수로 구성된 ‘한국형 4차 산업혁명 성공방정식’의 추진이 필요하다”라고 제안했으며, 특히 규제혁신의 ‘속도’를 더욱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총장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신산업과 서비스 창출을 위해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규제 샌드박스’ 제도의 확대 등을 포함해 4차 산업혁명 신기술에 대한 규제개혁은 더욱 가속화되어야 하며, 포지티브(positive) 규제에서 네가티브(negative) 규제로 신기술 규제체계를 대전환하려는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라고 제안했다.

다섯째, 4차 산업혁명 구현을 위한 정책 제안을 국가적 관점뿐만 아니라 글로벌 관점에서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총장은 정부의 지원으로 작년 12월 우리 대학에 개소한 ‘한국 4차산업혁명 정책센터(이하 한국4IR센터)’를 언급하며 “이 센터는 WEF의 4차 산업혁명센터와 긴밀한 유대 관계를 맺고 사업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지자체와 정부기관이 한국4IR센터와 협업한다면 글로벌 차원의 연구와 정책개발이 가능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이 날 개최된 중앙-지방 민간위원장 간담회에는 신성철 총장, 윤성로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 장석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 광주시 이용섭 시장을 비롯해 17개 시·도 4차산업혁명 위원회 민간위원장과 관계자 등 60여 명이 참석했다.

콘텐츠담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