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창업기업(동문 ․ 입주기업 ․ 학생 ․ 교원)은 연간 3만 3천여 명을 고용하고 연 매출 합계액이 10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조상대상 기업 1245개 중에서 유가증권 시장에 2개 기업, 코스닥 시장에 43개 기업, 코넥스 시장에 5개 기업 등 총 50개 기업이 증권시장에 상장된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 대학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4 KAIST 출신 창업기업 성과조사’보고서를 8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KAIST 출신이 창업한 기업의 성과조사를 통해 대학의 창업지원을 체계화하고 효과적인 지원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내용은▲ 창업자 일반현황 ▲ 창업기업 현황 ▲ 출신별 교차분석 ▲ 학위별 교차분석 ▲ 연도별 성과분석 ▲ 창업지원현황 등 6개 분야로 구성됐다.
[창업자 및 기업 일반현황]
우선 창업자 유형별로 1245개 기업을 분석한 결과, 동문창업이 929개로 전체의 74.6%를 차지했으며 일반창업(입주기업) 191개(15.3%), 학생창업 91개(7.3%), 교원창업 34개(2.7%) 순이었다.
대표자의 최종학력은 석사출신이 515명(41.4%), 박사출신이 443명(35.6%), 학사출신이 213명(17.1%), 기타가 74명(5.9%)순이었다. 창업회사의 대표자 학력이‘석사’이상인 이유는 석사과정에서 특정분야의 전문지식과 기술을 습득한 이후 창업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KAIST 전공계열별 창업자 현황을 보면, 조사 대상자 1019명 중 공학계열이 719명(70.6%)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경영계열 111명(10.9%), 자연계열 103명(10.1%), 기타계열 86명(8.4%)순이었다.
본사 소재지가 확인된 1231개 기업의 지역별 분포를 분석한 결과, 서울이 462개(37.5%)로 가장 많았으며 대전과 경기도가 각각 355개(28.8%)와 273개(22.2%)로 나타나 KAIST 출신들이 주로 수도권에서 창업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도별 성과분석]
2013년 말 기준으로 1069개 기업의 연간성과를 분석한 결과, 자산합계액은 12조 4440억 원, 매출액 합계액은 10조 130억 원, 연간 고용인원은 3만 3465명으로 나타났다.
또 창업기업의‘지역총생산액(GRDP)’규모는 서울이 1조 5800억 원(서울 GRDP의 0.49%), 경기 5조 2190억 원(경기 GRDP의 1.67%), 대전 1조 7820억 원(대전 GRDP의 5.53%)으로 나타나 KAIST 창업기업이 대전지역 생산액의 5.5%를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지원현황]
성과조사와 함께 창업지원 희망항목과 KAIST가 지원하는 정책에 대한 의견조사도 실시됐다.
창업 시 가장 어려운 점을 묻는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 214명이 ▲투자유치 375점(31.7%) ▲ 인력부족 269점(22.8%) ▲ 컨설팅 199점(16.8%) 순으로 답변했다. 특히 대기업과 중견기업은 인력부족을, 중소기업은 투자유치에 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 전 KAIST로부터 지원받은 분야로는 공간지원이 44개 기업(38.3%)으로 가장 많았으며 교육지원이 21개 기업(18.3%), 연구개발 지원이 18개 기업(15.7%)순으로 조사됐다.
이번 보고서는 1990년대 후반 시작된 KAIST 벤처창업의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졸업생 및 구성원들이 도전적인 창업으로 국가 경제의 핵심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 자료라고 KAIST는 평가했다.
KAIST는 이번 보고서를 시작으로 선배 창업자들이 무엇을 원하는지를 지속적으로 파악해 향후 재학생들의 창업교육 지원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보고서 작성을 총괄한 배중면 KAIST 산학협력단장은 “이번 성과조사는 KAIST 출신 창업기업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한 국내대학 최초의 사례로, 창업지원 정책의 체계적인 발전전략을 세우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KAIST는 구성원들의 기업가정신 및 창업문화 확산과 창업 지원체계를 고도화하기 위해 지난 2014년 KAIST 창업원을 신설했다. 현재 운영팀, 창업지원실, 글로벌확산실, 글로벌협력연구센터 등 4개 팀이 창업과 관련한 활동을 돕고 있다. 끝.
우리 대학이 딥테크 창업기업의 해외 진출을 파격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글로벌 스튜디오 1기 입주기업을 선발했다고 4일 밝혔다. 글로벌 스튜디오는 창업원(원장 배현민)의 신규 조직으로 올해 7월 개소했다. 우리 대학이 글로벌 창업생태계를 구축하고 주도하기 위한 첫 시도라고 할 수 있다. 글로벌 스튜디오는 국내·외 전략 파트너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해외에 거점을 둔 프로그램과 연계해 딥테크 창업기업의 글로벌 진출 지원을 전담한다. 이를 위해 새롭게 추진하는 ‘글로벌 벤처빌더’는 글로벌 잠재력이 높은 기업을 조기 발굴해 시제품 제작부터 해외 진출까지 글로벌 창업의 전 주기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우리 대학은 교내 창업기업 및 대전 소재 스타트업 중 딥 사이언스에 특화된 기술력을 앞세워 글로벌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글로벌 스튜디오 1기 입주기업을 선발했다. ▴(주)퀀텀아이 ▴(주)마라나노텍 ▴(주)하이드로엑스펜드 ▴카본에너지 ▴레이저
2024-10-07우리 대학이 2024년 창업기업 100개 배출을 목표로 새로운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시행한다. 오는 22일부터 참여 기업을 모집하는 'IR 컨설팅(IR Consulting)'은 딥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우수 교원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한다. 세계 시장에서 기업 가치와 기술 가치를 보다 공정하게 평가받을 수 있도록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설계한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해, 우리 대학 창업원(원장 배현민)은 창업 전문가로 구성된 TF를 꾸려 컨설팅을 희망하는 교원 창업기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투자 유치를 위해 필요한 시장성·경제성·권리성을 분석하고 더 나아가 마케팅·사업 추진·엑시트 전략 등을 함께 수립한다. 우수 교원 창업기업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뤄갈 수 있도록 전 단계를 관리하는 것이 골자다. 또한, 창업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고도화하고 해당 기술에 대한 산업계의 수요를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연계해 개발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2024-01-18국내 최대 창업경진대회인 ‘도전! K-스타트업 2023’에서 우리 대학 기계공학과 황보제민 교수의 사족로봇 ‘라이보’를 개발한 라이온로보틱스, 신소재공학과 스티브박 교수의 교원창업 기업 알데바가 올해 왕중왕(대상)을 차지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창업진흥원은 31일 국내 최대 창업경진대회인 ‘도전! K-스타트업 2023’의 왕중왕전(대상) 리그를 열고 수상자를 발표했다. 총 6187개 팀이 참여한 이번 대회에는 30개 팀이 최종 결승에 진출해 이 가운데 20개 팀이 입상의 기쁨을 누렸다. 이날 수상팀 선정작업을 맡은 대회 관계자는 "이전까지는 플랫폼 산업 관련 스타트업이 두각을 드러내며 유니콘으로 성장했다면, 앞으로는 딥테크와 바이오 등 다양한 기업이 눈에 띄게 성장해 시장에 현존하는 문제를 잘 풀어나갈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이날 대회에서 수상한 기업은 총 15억원의 상금과 후속 지원 등의 혜택을 제공받
2023-11-02우리 대학은 2023년 1월 5일부터 1월 8일까지 4일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진행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신기술 박람회인 ‘국제전자제품박람회(이하 CES 2023)’에서 KAIST관을 운영해 전시 기간 중 단독 부스 운영으로 유관 창업기업들의 우수한 기술을 소개할 예정이라고 3일 밝혔다. 우리 대학은 지난 2019년, 5개 창업기업과 함께 CES 2019 에서 처음으로 독자 부스를 운영하였던 것을 시작으로, CES 2020에서는 12개 사, CES 2022에서는 10개 사와 함께 CES에 참여한 바 있다. 네 번째 참가하는 이번 CES 2023에서 12개의 교원창업기업, 학생창업기업, 동문창업기업, 기술이전기업의 우수기술을 소개할 예정이다. 우리 대학은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한국무역협회(KITA)와의 협업을 통해 각 기업들에게 글로벌마케팅을 지원하고, 동 전시회를 통해 창업기업들의 글로벌 가치 창출과 더불어 KAIST 우수기술 및 참가기
2023-01-03우리 대학이 리베스트·멤스룩스·그린파워 등 창업 기업 5개사와 함께 8일(현지 시간)부터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가전·IT제품 전시회인 ‘국제전자제품박람회(이하 CES: International Consumer Electronics Show) 2019’에 참가한다. 글로벌 기업들이 매년 차세대 신기술과 각종 첨단 제품을 선보이는 CES에 국내 대학이 직접 참가하고 또 컨벤션센터 스타트업 전시관인 유레카 파크에 별도의 독립 전시 부스인 ‘KAIST관’까지 마련해 창업 기업의 글로벌 마케팅 지원에 나서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관련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KAIST는 박희경 연구부총장을 비롯해 최경철 산학협력단장 등 산학협력단 관계자와 교수·연구원 등 30여 명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19’에 참석해 총
2019-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