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A%B8%B0%EC%88%A0%EA%B2%BD%EC%98%81%ED%95%99%EA%B3%BC
최신순
조회순
한국 핀테크 산업의 과제를 주제로 컨퍼런스 개최
‘핀테크’ 열풍으로 국내․외 금융산업이 격변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핀테크 산업의 해외 진출 가능성을 살펴보는 자리가 마련된다. 우리 대학은 오는 21일(목) 오후 1시 서울 명동 은행회관 2층 컨퍼런스홀에서 권오규 前 경제부총리, 정지원 금융위원회 상임위원, 강성모 총장 등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세계 금융시장을 향한 한국 핀테크의 도전과 과제’를 주제로 핀테크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핀테크(FinTech)’는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정보기술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형태의 금융기술을 말한다. 아직까지 핀테크의 실질적 정의가 모호하고 산업간 경계가 명확하지 않지만, 첨단 IT기술을 보유한 우리나라가 세계 금융산업의 선도자로 나설 수 있는 기회라는 평가다. 컨퍼런스는 국내 핀테크 기업이 세계 금융시장에서 어떻게 경쟁력을 갖출 것인가에 초점이 맞춰져 진행된다. 먼저 기조강연자로 나선 김동석 KAIST 경영대학장은‘한국 핀테크의 도전과 과제’란 주제발표에서, 핀테크 산업이 지급결제 또는 인터넷 전문은행이라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산업간 경계를 허무는 창조적 파괴 산업이 될 것임을 강조 할 예정이다. 이어 금융계에서는 김종현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이‘국내 핀테크 생태계 구축을 위한 필요조건’을 주제로 발표한다. 우리 대학에서는 ▲권영선 기술경영학과 교수가‘한국경제와 핀테크의 역할’▲이윤준 전산학부 교수가‘ICT 분야에서 본 한국 핀테크’▲이병태 경영공학부 교수가‘한국에서 핀테크 현황과 가능성’▲김병천 경영공학부 교수가‘핀테크 산업 육성을 위한 도전과 과제’를 주제로 각각 발표한다. 이밖에 윤창현(前 금융연구원장) 서울시립대 경영학부 교수가‘국내 금융산업의 위기와 핀테크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한다. 이와 함께‘한국 핀테크 산업 육성 방안’을 주제로 열리는 토론회에는 미래창조과학부 송재성 인터넷 제도혁신과장, 금융위원회 김동환 전자금융과장, 삼성경제연구소 전진 박사, 8Persent 이효진 대표, 보험연구원 황인창 박사, 코스콤 이재규 미래사업단장이 토론자로 참여한다. 이번 행사를 주관한 김병천 KAIST 금융공학연구센터장은 “앞으로 핀테크 산업은 고객이 찾아오도록 하는 방식에서 고객의 생활패턴을 파악해 적재적소에 필요한 상품과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발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컨퍼런스 상세 정보는 홈페이지(http://business.kaist.ac.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5.05.14
조회수 12848
글로벌 IT 기술대학원 프로그램(ITTP), 'IT 지한파' 52개국 119명 양성
“한국의 전자 조달 구매시스템인 ‘나라장터’가 도입돼 코스타리카의 국가 투명성이 크게 높아졌습니다.” 지난해 9월 KAIST의‘글로벌 IT 기술대학원 프로그램(ITTP)’석사과정에 입학한 일레아나 팔라코(30 ․ Ileana Palaco, 코스타리카 디지털정부 기술사무국 공무원)씨는 “한국의 전자정부 솔루션은 중남미 전자정부 시스템 구축의 롤 모델”이라며“한국의 IT 기술과 정책을 중남미 국가들에 적극 소개하겠다.”라고 말했다. ITTP 과정은 신흥국 IT 공무원 ․ 기술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석․박사 학위과정으로, 전 세계 주요국가와 국제협력을 강화하고 인적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국내 IT관련 기업의 해외수출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다. 지난 20여 년간 IT산업은 대한민국 성장의 핵심 동력이었으나 국제사회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해당국가의 정보를 제공해 줄 인적 네트워크 구축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꾸준히 제기됐다. KAIST는 성장 잠재력이 큰 신흥국 IT 시장을 주목하고 그 나라 엘리트 공무원을 초청해 한국의 IT기술과 정책을 소개하는 ITTP 과정을 마련했다. KAIST 기술경영학과가 2006년부터 운영 중인 ITTP 과정(책임교수 노재정)은 현재까지 52개국 119명의 ‘지한파’졸업생을 배출했다. ITTP 교육과정은 신흥국 IT 공무원을‘우리편’으로 만들어 국내 IT 기업의 해외 진출을 돕는데 중점을 뒀다. 신입생 선발부터 국내 산업체가 희망하는 국가와 우리나라가 협력해야 할 중점 국가군을 최우선 고려한다. 지난 10년 동안 아프리카 지역 57명, 동남아 지역 45명, 중남미 지역 16명, 동유럽 지역 16명, 중동 지역 7명 등 총 141명이 입학했다. 수업은 IT 기술과 정책 등을 소개하는 이론수업과 산학협력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으로 구성됐다. 특히 프로젝트 수업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한국정보화진흥원 ․ KT 등 국내 IT 전문기관 근무자들이 ▲ 학생과의 워크숍 ▲ 전문가 초청 세미나 ▲ 교육생 출신국가 대사관 세미나 등에 강사로 참여해 현장의 경험을 전수하고 있다. ITTP 교육과정에 대한 해외정부와 국제기구의 반응은 뜨거웠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ITTP 교육과정의 수월성을 인정해 학생 선발정보를 190여 회원국에 알리는 공식문서를 발송해 도움을 주고 있다. 또 아프리카 개발은행(AFDB)은 2010년 ITTP 교육 프로그램을‘차세대 아프리카 리더 프로그램’으로 선정하고 아프리카 지역 IT 공무원 19명을 파견했으며 2013년부터 위탁교육생을 추가로 파견하고 있다. 졸업생들도 국내 전자정부 솔루션을 수출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2012년 한 해 동안 한국이 수출한 전자정부 솔루션은 25건[행안부 2012년 12월 발표] 인데, 그 중 6건에 ITTP 학생들이 연구원으로 참여해 한국의 IT 기술과 정책의 대변인 역할을 하고 있다. ITTP 과정을 졸업한 신흥국 엘리트 공무원들이‘IT 지한파'로 성장해 대한민국의 전자정부 솔루션 수출을 견인하는 등 국내 IT 기업이 해외로 진출하는데 첨병 역할을 하고 있다고 KAIST는 밝혔다. 최근에는 신흥국 정부 관계자들이 IT 기술과 정책에 대한 장 ․ 단기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달라는 요청에 따라 KAIST는 프로그램을 확대해 운영할 계획이다. ITTP 과정을 총괄하는 노재정 기술경영학과 교수는 “세계 각국의 IT 공무원을‘우리편’으로 만드는 일은 국제사회에서 IT코리아의 위상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하다”라며 “지한파 IT 공무원들은 대한민국 IT산업의 지속적인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ITTP 과정 재학생 일동은 2일 오전 10시 문지캠퍼스에서 강성모 총장, 주한 나이지리아 대사 등 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KAIST 발전기금 전달식 및 기념식수’행사를 갖는다.
2015.04.03
조회수 13594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