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D%95%99%ED%9A%8C%EC%9E%A5
최신순
조회순
물리학과 이상민 교수, 제33대 한국광학회장 선출
우리 대학 물리학과 이상민 교수가 제33대 한국광학회장으로 선출됐다. 그는 오는 3월 1일부터 1년간 학회를 대표하며, 이에 대한 공식발표는 2월 13일 이루어졌다. 한국광학회는 1989년 창립된 레이저 및 광학 분야를 대표하는 학술단체로, 10,000명 이상의 산·학·연 회원이 활동하고 있다. 학회는 9개의 전문분과를 중심으로 기초과학의 발전과 최첨단 융합기술 개발에 기여하며, 국내 광학 연구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레이저 및 광학기술은 현대 과학기술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 분야로, 2018년 노벨물리학상(레이저 물리), 2023년 노벨물리학상(아토초 과학), 그리고 같은 해 노벨화학상(양자점)을 수상하였으며, 기초과학 연구와 최첨단의 융합기술에 기반이 되고 있다. 차세대 반도체의 핵심인 극자외선(EUV)부터 에너지, 국방, 우주, 디스플레이, 그리고 양자정보·양자기술에 이르기까지, 국가의 미래 경쟁력을 결정짓는 최첨단 분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상민 신임 회장은 레이저 및 광대역 초고속·비선형 광학 분야 전문가로, 현재 KAIST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는 “레이저 및 광학기술은 기초과학뿐만 아니라 첨단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원천기술로 오랜 역사를 지닌 분야”라며, “한국광학회가 국내를 넘어 해외 산·학·연의 전문가들과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활발한 소통을 통해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국제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2025.02.20
조회수 757
기술경영학부 이수진 교수, 한국협상학회 제19대 학회장 선임
우리 대학 기술경영학부 이수진 교수가 '제19대 한국협상학회장'으로 선임되었다. 임기는 2025년부터 2년간이다. 1995년 설립된 한국협상학회는 정치, 행정, 경영, 경제, 법학, 국제 통상, 커뮤니케이션, 교육학 등 여러 분야의 학자와 현장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간 우리나라의 국제협상 역량을 강화하고 여러 사회적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이론과 전략을 현장에 실천하는데 기여해왔다. 또한, 한국협상학회는 탁월한 협상력으로 사회 발전에 기여한 인물을 발굴하여 매년 대한민국협상대상을 수여하고 있다. 이 교수는 학회 설립 30주년을 맞아 새로운 30년에 대한 비전을 새롭게 제시할 예정이다. 특히, 글로벌 경쟁의 새로운 패러다임 하에서 국제 협상 연구를 활성화하며, 협상과 갈등 관리 교육의 사회적 확산에 힘쓸 예정이다. 이수진 교수는 미국 코넬대학교 존슨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노스웨스턴대학교 켈로그경영대학원에서 방문조교수로 활동하였다. 2007년부터 우리 대학 기술경영학부에서 재직 중이며(건설및환경공학과 겸임), 주요 연구 분야는 조직 관리, 협상, 갈등 관리, 리더십이다. 경영학 분야의 최고 권위 국제학회 'Academy of Management 갈등 관리' 분야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한 바 있다. 또한, 우리 대학 학생정책처장, 학생생활처장, 새내기과정학부장을 역임하였다.
2024.10.23
조회수 2315
전기및전자공학부 원유집 교수, 한국정보과학회 2023년도 차기 회장에 당선
우리 대학 전기및전자공학부 원유집 교수가 지난 11월 4일에 종료된 한국정보과학회 차기회장 선거에서 2023년도 차기회장에 당선됐다. 원유집 교수는 2024년 1년동안 제 39대 정보과학회 회장으로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원유집 교수는 운영체제, 특히 스토리지 시스템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자다. 한국정보과학회는 컴퓨터/소프트웨어 분야 명실상부한 국내 최고 권위의 학술단체다. 1973년에 창립됐으며 웹 회원을 포함 4만2천여 회원과 437개 특별/단체회원, 연 72회의 정기간행물 및 50여 회의 학술행사를 주관, 주최하고 있다.
2022.11.15
조회수 4685
김원준 교수, 31대 기술경영경제학회장 선출
우리 대학 기술경영학부 김원준 교수가 제31대 기술경영경제학회장으로 지난 3월 취임했다.기술경영경제학회는 기술경영경제, 과학기술정책 분야를 이끌어가는 학술단체로 1992년에 창립되었다. 현재까지 2,500여 명의 정회원 및 학생 회원이 소속되어 있으며,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우리나라의 국가 경쟁력 제고에 큰 기여를 해왔다. 특히, 경영⋅경제⋅정책의 학문적 기반을 바탕으로 정부와 산업의 과학기술혁신 정책과 전략을 연구하고 제시하는 국내 최초의 융합학회로서, 한국 산업의 도약과 과학기술 기반 경제 성장을 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김 교수는 "학회 설립 30주년을 맞아 한국의 기술경영·과학기술정책에 기반한 성장과 지난 30년의 기여를 정리하고, 새로운 30년에 대한 비전과 전략을 새롭게 제시하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특히, 글로벌 위기와 경쟁의 새로운 패러다임 하에서 과학기술역량과 산업혁신을 도약시킬 기술경영과 과학기술의 정책적인 방향을 제시해 한국이 지정학적 한계를 극복하고, 기정학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데 이바지하고자 한다"라고 취임 소감을 밝혔다. 김원준 신임 회장은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부회장 및 미래세대위원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이다. 과학기술정책 및 기술경영분야 국제학회인 Asia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Association 회장을 역임하며 이 분야 발전을 위한 국제적인 활동을 하고 있으며, KAIST 혁신전략정책연구소장으로 국내외 과학기술혁신 전략 및 정책 분야 학문적, 사회적 기여를 확대하고 있다. KA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장, 바이오혁신경영전문대학원장으로 인력양성에 이바지하고 있으며, KAIST 국제개발협력센터장으로 KAIST 모델의 국제적 확산에 힘쓰고 있다.
2022.04.05
조회수 5886
전기및전자공학부 박성욱 교수, 제24대 전자파학회장 선임
우리 대학 전기및전자공학부 박성욱교수가 제24대 한국전자파학회장으로 선임됐다. 한국전자파학회는 1989년에 창립되어 올해 33주년을 맞이하며, 현재 만명이 넘는 회원과 SCI 국제학술지(JEES), 국문논문지(등재학술지), 학회지인 ‘전자파기술’ 및 18개의 전문 연구회를 보유한 정보통신기술 분야 4대 학술단체다. 신임 박성욱회장은 차세대소형인공위성1호 발사 등 한국인공위성의 산파역할을 하는 KAIST 인공위성연구소 소장을 최근 역임한 인공위성분야 최고 권위자 중 한명이다. 취임후 언론인터뷰에서 "최근 아랍에미리트(UAE)가 화성 탐사에 성공하면서 국제관계와 경영을 전공하던 학생들이 과학으로 전공을 바꾸기 시작했다”며 “우리나라보다 후발 주자인 UAE 가 이뤄낸 이러한 도전의 변화가 우리나라 학계에서도 꼭 일어나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학회가 더욱 국제적으로 우수한 학회로서 성장하기 위해 많은 관심과 지원을 바란다”고 당부했다. 더불어 박성욱교수는 최근 전자신문에 아래와 같이 6G 위성통신에 대해 기고하였다. 링크 : [통신칼럼] "6G 위성통신, 대형국책사업으로 개발해야" https://m.etnews.com/20220110000127
2022.01.12
조회수 6052
박상희 교수, 16대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장 선출
우리 대학 신소재공학과 박상희 교수가제 16대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장으로 취임했다.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의 부흥기인 1999년 설립된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는 우리나라의 정보 디스플레이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학술단체로서, 삼성 디스플레이와 LG 디스플레이 등 60 여 개의 법인회원과 1500 여 명의 회원이 활동 중이다. 학회는 현재 SCIE 저널과 학회지인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를 발간 중이다. 박 교수는 "중국의 거친 기술개발과 시장 확장의 공세로 위기에 처해 있는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의 제 2의 도약을 위해 산학연의 기술개발 협력을 이끌고, 디스플레이 산업 인력 양성 확대 및 미래 디스플레이 핵심 기술을 한국이 지속적으로 선점하도록 기반을 다지는 데 노력하겠다"라고 취임소감을 밝혔다. 박상희 신임 회장은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를 받은 후, 미국 피치버그 대학에서 화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학회인 미국의 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 (SID)의 Fellow 이면서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이며, 산화물반도체 기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용 소재 및 소자연구에 힘쓰고 있다.
2022.01.07
조회수 6501
성풍현 교수, 한국원자력학회장 취임
성 풍 현 교수 우리 대학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성풍현 교수가 9월 1일자로 제28대 한국원자력학회장에 취임했다. 임기는 1년으로 학회를 이끌게 된다. 성풍현 교수는 서울대 원자핵공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MIT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 미국원자력학회 한국지부 지부장, 미국원자력학회 인적요소 및 제어계측 기술분과(HFICD) 회장 등을 역임했다. 또한 한국원자력학회에서는 국제학술지(NET) 편집위원장 겸 NET SCI 등재 추진위원장과 원자력계측제어 및 자동원격 연구부회장, 부회장 등을 역임했다. 1969년 창립된 한국원자력학회는 원자력 관련 학술 및 기술 발전과 원자력 개발 및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된 학술단체이다. 현재 4,200여명의 회원이 전문분야별 10개의 연구부회에서 활동한다. 한국원자력학회의 국제 학술지인 NET는 2007년에 확장판 SCI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됐고 현재는 핵심판 SCI 데이터베이스 진입 추진 중이다.
2015.09.01
조회수 9177
불안의 시대, 사회학 길을 찾다…한국사회학회 KAIST서 대규모 학술대회
한국사회학회(회장 윤정로 인문사회과학과 교수)와 KAIST 인문사회융합과학대학은 20일과 21일 이틀 동안 본교 인문사회과학동에서 ‘불안의 시대, 사회학 길을 찾다’란 주제로 2014년 전기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향후 커다란 사회 변동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되는 ‘빅데이터(Big Data)’ 현상과 세월호 참사로 관심이 고조된 ‘위험사회(Risk Society)’에 대한 진단을 주요 과제로 발표와 토론을 진행한다. 행사 기간 중에는 한국 사회의 위험 요소와 위기의식을 진단하는 두 차례의 ‘세월호 특별집담회’가 열려 국가위기관리체계와 관료사회문제, 집단 트라우마 치유와 사회적 재난 대응 문제 등을 집중 점검한다. ‘위기의 한국인, 그 표류하는 마음’을 주제로 우리 사회의 위험 인식을 진단하고,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사고와 세월호 참사 등에서 나타난 ‘위험사회’의 징후를 고찰하는 자리도 마련된다. 또 다른 논의의 장에서는 10여 명의 전문가가 빅데이터의 출현이 가져 올 우리 사회의 변화를 조망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모두 40개 분과로 나눠져 진행되며, 다양한 사회학적 주제로 모두 150여 편의 논문이 발표될 예정이다. 윤정로 회장은 “사회학 연구자들이 최근 우리사회가 겪고 있는 불안과 혼란, 위험과 불확실성을 학술적으로 진단하고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사회 현실의 문제를 탐색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우리 사회에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국사회학회는 이번 학술대회 기간 중 그룹 장기하와얼굴들 콘서트, 제1회 한국사회학회 사진전 등 부대 행사도 진행한다. 끝.
2014.06.19
조회수 11805
이재규 교수, 한국인 최초 AIS 학회장 선출
우리 학교 경영대학 이재규 HHI 석좌교수가 한국인 최초로 세계정보시스템학회(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AIS) 학회장으로 선출됐다. AIS는 세계 99개국 4천여명의 정보시스템 연구자들이 모이는 최대 학술단체다. 이 교수는 2014년 7월부터 2015년 6월까지는 학회장 당선자로, 2015년 7월부터 2016년 6월까지는 학회장으로 활동한다. 지난 2011년에는 국내 최초로 AIS 펠로우(Fellow, 석학회원)로 선출된 바 있으며 AIS의 학술대회인 ICI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를 2017년에 서울에서 개최하도록 유치했다. 이 교수는 경북고등학교,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KAIST 산업공학 석사, 펜실베니아대학교 경영정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제학술지 전자상거래 리서치 및 애플리케이션 초대편집위원장, 아시아태평양 정보시스템학술대회 의장, 정보시스템 국제 콘퍼런스 의장을 역임했다. 국내외 다수 MBA에서 교재로 채택한 ‘Electronic Commerce’의 공동 저자로도 업적을 인정받고 있다. 한국 정보화 발전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돼 근정포장을 받았고 한국경영정보학회장과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장을 거쳤다. 현재 KAIST 경영대학 녹색성장대학원 원장, KAIST EEWS(Energy, Environment, Water and Sustainability: 에너지, 환경, 물, 지속가능성) 연구센터장을 맡아 녹색경영과 IT의 융합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이 교수는 “학회장으로서 세계 경영정보학계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게 돼 영광으로 생각한다”며 “우리나라의 기업경쟁력은 효과적 경영정보시스템에 기인한 바가 크다. 이제는 국가 위기관리와 기후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을 미리 구축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KAIST 경영대학 김영걸 교수는 “한국인 교수가 전 세계 4,000여명의 교수, 연구원들이 모인 정보시스템분야 세계 최대학회(AIS)의 차기 회장으로 선출된 것은 이제 대한민국이 하드웨어를 넘어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도 글로벌 리더십을 인정받은 쾌거”라고 말했다. 한국경영정보학회 정철용 학회장도 이 교수의 AIS 학회장 선출을 반겼다. 그는 “한국경영정보학회가 설립된 지 23년만에 한국인 학자로는 처음으로 경영정보학분야 세계최대 학회의 학회장을 배출하게 됐다”며 “이는 본 학회가 세계 최대의 ICIS 2017 학술대회 개최를 서울로 유치한데 이은 쾌거로, ICT 융합 강국으로서 한국의 위상을 높이고 국내 경영정보학 도약을 위한 전기로 삼겠다”고 말했다.
2014.05.14
조회수 13807
‘폴 너스’ 영국 왕립학회장 특별강연
우리 대학은 11일 오후 1시 30분 본교 KI 빌딩에서 노벨상 수상자 겸 영국 왕립학회장인 폴 너스(Sir Paul Nurse)경을 초청해 ‘생물학에 대한 위대한 견해’를 주제로 특별강연을 개최한다. 폴 너스경은 ‘세포분열, 세포주기의 핵심 조절 인자 발견’으로 2001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옥스퍼드대학교 미생물학과 교수, 영국 왕립암연구재단 사무국장, 뉴욕 록펠러대학교 총장을 역임하고 현재는 영국 왕립학회장으로 재직 중이다. 강연은 생물학의 3대 개념인 유전자설, 진화론과 자연도태의 원리, 그리고 세포 등이 모든 생명체 연구의 기반단위 역할을 수행하면서 생물학이 발전해 왔으나, 네 번째 관념인 ‘세포의 화학적 성분’의 등장으로 생물학과 과학의 관념이 크게 바뀌고 있다는 내용으로 진행된다. 끝.
2014.03.11
조회수 12105
유회준 교수, 亞 대학 최초로 ISSCC 학회장 맡아
우리 학교 전기 및 전자공학과 유회준 교수가 10일부터 13일까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국제고체회로학회(ISSCC, 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에서 아시아 대학 최초로 학회장에 선임됐다. 임기는 2014년 4월부터 1년간이다. 유 교수는 학회 창설 이래 약 60년간 논문 실적은 세계 10위, 지난 10년간은 세계 4위로 기록돼 아시아 최고 실적을 낸 연구자로 인정받았으며, 2012년 공적상을 수상한 바 있다. ISSCC는 매년 2월 개최되는 세계 최고 권위의 반도체분야 학회로 전 세계의 반도체 관련 기업, 연구소 및 대학에서 제출된 논문 중 약 200여편의 논문만 엄선해 발표되는 학회다. ‘반도체 올림픽’이라고도 불리는 이 학회는 전 세계 3천명 이상의 반도체 기술자들이 모여 4일간 기술을 뽐낸다. 인텔이 최초로 CPU 제품을 발표하거나 삼성에서 최초로 메모리 기술을 발표하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유회준 교수는 “우리나라 반도체 기술은 외국 기술을 모방하는 수준을 넘어서 세계를 선도하고 있다”며 “앞으로 세계 반도체 기술을 한 차원 높게 끌어 올리는데 기여를 하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2014.02.12
조회수 14024
KAIST 기계공학과 이상용 교수 "과학기술훈장 진보장’ 수상
KAIST 기계공학과 이상용 교수는 지난 4월 19일(금) 과천정부청사에서 열린 제46회 과학의 날 및 과학기술인, 정보통신인 한마음 대회에서 ‘과학기술훈장 진보장’을 수상했다. 대한기계학회장과 한국기계기술단체총연합회장을 역임한 이상용 교수는 학술교류, 국제학술대회 주최 및 참여, 국제학술지 편집활동, 산학협력에 기여하는 등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해왔다.
2013.04.29
조회수 11714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2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2